파이썬으로 엑셀을 다루기 위해서 먼저 VS코드 터미널 창에 아래 필수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당연하지만 엑셀이 실제로 설치되어있어야 한다...
pip install openpyxl
또한 파이썬으로 엑셀을 다루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용어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Workbook 은 전체 통합 시트를 말한다. 엑셀 파일 그 잡채.
Worksheet는 위 엑셀파일에 시트를 일컫는다.
Cell은 위 시트 안에 하나의 네모난 사각형을 말한다.
이제, 엑셀 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시트 이름을 변경해보자
from openpyxl import Workbook
wb = Workbook() # 새 워크북 생성
ws = wb.active # 현재 활성화된 시트
ws.title = "시트1번"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서 from openpyxl import workbook 명령어를 사용한다.
Workbook을 하나 생성하고 wb라는 변수에 저장 --> 엑셀파일을 생성
wb에 현재 활성화된 시트 이름을 ws 변수로 저장 --> 시트를 생성
워크시트의 이름을 "시트1번"으로 변경한다.
시트를 하나 더 추가하고 시트탭 색을 변경하고 싶다면?
ws2 = wb.create_sheet() # 신규 시트를 생성
ws2.title = "시트2번"
ws2.sheet_properties.tabColor = "ff66ff"
시트를 하나 더 생성하기 위해서는 워크북이름.create_sheet()를 통해 신규 시트를 생성할 수 있다
위 내용처럼 시트이름을 지정할 수 있고, 생성할때 바로 바꿀 수 있다..
ex. ws2 = wb.create_sheet("시트2번")
워크시트의 이름을 "시트2번"으로 변경한다.
ws2.sheet_properties.tabColor = "ff66ff" 이 코드는 시트탭 컬러를 변경하는 것이다 우측에 ff66ff는 구글창 RGB 코드번호를 검색해서 사용하면 된다.
시트를 하나 더 추가하고 시트 위치를 지정하고 싶다면?
ws3 = wb.create_sheet("테스트시트3", 0)
간단하다 컴마를 통해 시트 위치를 지정해주면 된다.. 0, 1, 2 ...
마지막으로, 아래처럼 실제로 저장해보고 직접열어서 색상과 시트생성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해보자.
wb.save("샘플.xlsx")
wb.close()
'IT 놀이터 > 파이썬 - 엑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파이썬으로 엑셀 다루기 - 행, 열 전체를 가져오기(특정 열만 가져오기) (0) | 2023.02.07 |
---|---|
2. 파이썬으로 엑셀 다루기 - 행과 열 그리고 셀 다루기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