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list2

3-2. 파이썬 리스트(List) 응용 예제 (삽입, 삭제) 파이썬 리스트에서, 빈 리스트를 생성하고 값을 입력한다. 추가할때는 append()함수를 활용하면 된다 a = [] a.append(1) a.append(4) a.append(9) print(a) point 변수 a의 마지막 위치부터 추가된다. 다만 하나씩 삽입할 수 있는데 append() 대신 extend() 를 사용하면 한번에 여러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예시 : a.extend([1,1,2,4,5]) 파이썬 리스트에서, 원하는 위치에 데이터 추가를 위해서는 insert() 함수를 사용한다. a = [1,5,8,7,9] a.insert(1,8) print(a) 1의 위치에 8을 추가하고 한칸씩 밀렸다 파이썬 리스트에서, remove()함수를 사용하면 첫번째로 일치하는 값을 삭제한다 b = [4,5,.. 2022. 10. 18.
3. 파이썬 리스트(List) 자료형 파이썬에서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로 묶어 표현 a_list = [1,2,3,4,5] 리스트는 0번부터 시작된다. 파이썬에서 리스트 연산(List 연산) a = [1,2,3] b = [4,5,6] # 리스트의 연산 print(a + b) print(a * 2) result 파이썬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a = [1,2,3] b = [4,5,6,["사과","딸기","모닝빵"]] c = ["히힛"] b[-1].append("히힛") print(b[-1]) print(b[2]) print(b[0:2]) # 출력 값을 보자면 0부터 시작하며 끝자리(2)의 -1인 위치인 0,1 위치만 출력되었다. [:2],[0:] # 중)첩 리스트도 가능하다 print(b[3][:2]+c).. 2022. 10. 18.